경기도교육청이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학생의 행복지수 향상을 위한 교육적 관점에서의 교육급식의 역할 연구’ 결과 학교 급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행복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명지대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도내 91개교 2천336명의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만족도와 행복지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은 90문항에 조사서에서 ‘매우 그렇다’부터 ‘매우 그렇지 않다’까지 5점 척도로 응답했다.
그 결과 급식의 질, 환경, 운영, 위생상태, 배식형태, 평소 식습관 등 13개 항목으로 평가한 급식 만족도는 평균 3.87점으로 ‘만족함(4점)’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삶에 대한 만족도, 심리적 안정, 친구 관계, 학습환경 등을 평가해 전반적 행복감·주관적 행복·학교 행복감 등 3개 부문으로 나눠 지수를 매긴 행복지수는 전반적인 행복감 4.1점, 주관적 행복감 4.1점, 학교 행복감 3.8점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학교급식 만족도와 행복지수 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전반적 행복감 0.249·주관적 행복 0.296·학교 행복감 0.432, p<0.001)가 있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 숫자는 학교급식 만족도가 1점 증가할 때 전반적인 행복감은 0.249점, 주관적 행복은 0.296점, 학교 행복감은 0.432점씩 증가한다는 의미다.
학생들의 학교 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초등학생 4.09점, 중학생 3.74점, 고등학생 3.56점 등으로 나타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졌다.
도교육청은 앞으로 보다 효율적인 맞춤형 교육급식 운영을 위해 인근 학교 3∼4곳과 식단편성부터 식재료 구매까지 공동으로 급식하는 ‘마을형 교육급식’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중심의 맞춤형 교육급식이 정착한다면 급식에 대한 만족도와 학생들이 학교에서 느끼는 행복감이 저절로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교육청은 올 하반기부터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 기호에 맞는 식단을 제공, 학생 스스로 식단을 고를 수 있는 ‘2016 맞춤형 교육급식’을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