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5월 출생아 수는 3만4천4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5.8%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5월 기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0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6% 준 2만5천500건으로 역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년 이래 5월 기준 가장 적었다.
혼인 건수는 올해 1월부터 5월까지를 합쳐도 전년동기대비 7.3% 줄어든 2만4천1건에 머물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가임기 연령대 여성 인구가 줄고 있는 데다 이로 인한 절대적인 혼인 건수도 감소하고 있기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결혼 적정 연령인 25∼34세 인구가 줄고 있고 있어 혼인과 출생 건수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사망자는 1.3% 늘어난 2만3천200명으로 집계됐고, 이혼 건수는 10.8% 늘어난 9천200건이었다.
한편, 통계청이 이날 함께 발표한 ‘6월 국내인구이동’ 자료를 보면 지난달 이동자 수는 56만7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8%(8만3천명) 줄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인구이동률도 1.1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8%p 하락했다.
이는 주택매매 및 전월세 거래가 줄어든 데 따른 영향이 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46만7천659건으로 역대 최대 주택거래량을 기록한 지난해(61만796건)보다 23.4%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순유출(전출-전입)은 서울이 1만2천64명으로 가장 많았고, 순유입은 경기도가 1만215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