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작년 7월 박근혜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 간의 비공개 면담 경위에 관한 수사에 착수했다.
당시 면담에서 박 대통령이 미르·K스포츠재단 모금을 직접 독려했다는 진술이 확보될 경우 박 대통령 쪽을 향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7일 사정당국과 재계에 따르면 현 정부 ‘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0·구속)씨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7일 오전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박모 전무와 이모 상무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지난해 7월 24∼25일 이틀에 걸쳐 진행된 박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 간의 비공개 면담 경위를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작년 7월 24일 청와대로 대기업 총수 17명을 물러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 대통령은 공식 행사 때 “한류 확산 취지에서 대기업들이 재단을 만들어 지원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주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수사 과정에서 박 대통령이 행사 당일과 이튿날 7명의 대기업 총수들을 따로 불러 미르·K스포츠 출연을 주문했다는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비공개 면담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등 7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진다.
박 대통령은 지금껏 미르·K스포츠재단이 기업들의 순수한 참여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앞서 모금 작업을 총괄한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안종범 수석이 모금을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애초 기금 규모가 600억원가량으로 정해졌다가 재단 등기 직전 안 전 수석이 전경련 측에 ‘청와대 지시’라며 추가 모금을 요청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이런 정황에 따라 검찰은 어떤 형태로든 박 대통령의 지시 내지 ‘지시 성격’의 발언에 따라 두 재단이 설립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경위를 확인하기로 수사 방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검찰은 당시 비공개 면담에 참여한 대기업 총수 관계자들을 상대로 참석 경위, 당시 발언 등을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