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부응코자 내년부터 5년간 약 95조원을 투입해 일자리 137만개를 창출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LH는 전날인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토부 주최로 열린 ‘공공기관의 사회적 챙임성 강화 워크숍’에서 이러한 내용의 중장기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LH는 올해 14조4천억원 수준인 사업비를 내년부터 매년 18조9천억원으로 31.3%(4조5천억원) 확대하기로 했다.
LH는 2009년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 통합 이후 막대한 부채를 감축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사업비를 줄여왔다. 이에 따라 2012년 20조9천억원에 달했던 투자비는 2015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14조4천억원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새 정부가 중점 추진하는 공공임대주택 건설과 도시재생 뉴딜 사업 등 신규 투자로 사업비를 연간 4조5천억원씩 늘릴 계획이다.
우선 새 정부의 공공임대주택 확대 정책에 따라 예년보다 2만6천가구 늘어난 연간 10만7천가구의 공공임대를 공급하기 위해 연 3조원의 투자를 확대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서 집 없는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매년 17만가구의 공적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공공기관이 공급해야 하는 공공임대 13만 가구 중 LH가 연평균 10만7천가구를 책임진다.
LH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도 연 1조5천억원을 신규 투자한다.
정부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연간 10조원을 투입할 예정인데, 공기업 투자분으로 할당된 3조원 중 50%(1조5천억원)를 LH 사업으로 추진한다.
LH는 이같은 투자비 확대로 경기 활성화와 더불어 종전 20만8천명 수준으로 추산했던 일자리 창출 효과가 27만4천명으로 31.7%(6만6천명)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문재인 정부 5년간 총 137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셈이다.
LH는 ‘대통령 업무지시 1호’인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로드맵도 마련했다.
LH에는 현재 전세임대, 주거복지 분야 업무를 담당하는 직접고용 비정규직 1천390명과 청소, 경비, 시설관리 등 업무를 하는 민간위탁 간접고용 비정규직 1천89명이 있다.
지난달 기준 총 2천479명인 비정규직을 9월부터 단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모든 상시·지속 업무는 정규직으로 전환해 직접 고용하거나 자회사 설립, 사회적 기업 설립 등 방법으로 흡수한다.
방성민 LH 경영혁신본부장은 “현재 비정규직 전 직무에 대한 직무분석을 진행 중”이라며 “다음달 업무 특성별 전환 로드맵을 확정하고, 9월부터 단계적으로 정규직 전환 및 처우개선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공항공사는 이날 발표에서 1만명에 육박하는 외부 위탁용업업체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을 연말까지 마무리하는 내용의 로드맵을 제시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