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도 정족산성(삼랑성)이 4천 년 전인 고조선 초기에 축조됐다는 학설이 제기됐다.
인하대 남창희 교수는 지난 5년간 진행했던 동북아 고대산성 비교 연구에서 정족산성의 구조와 위치를 군사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축성 시기가 고조선 초기로 추론된다고 2일 밝혔다.
전등사가 위치한 정족산성은 전형적인 포곡식 산성으로 가파른 외측면 산세를 이용한 천혜의 군사기지다.
지난 1866년 병인양요 당시에도 강화도에 상륙하려는 프랑스군을 격퇴했을 정도로 방어에 유리한 지형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현재 정조산성의 축조 시기와 관련해서는 세종실록지리지에 전설에 의존해야 할 정도로 먼 과거에 축조된 것이란 기록만이 남아 있다.
남 교수팀과 국방대 권태환 교수는 BC 8세기부터 한성백제 말기 475년까지 약 1천200년간의 동북아 국제 관계 주요 변동 시점에서 정치군사 모의분석을 실행했다.
연구팀은 삼국시대 이전 해양력 발전의 지표는 천문기록과 항해인 데 두 가지를 충족시킨 국가는 고대 동북아에 고조선뿐이었다는 주장이다.
중원 문화에 없는 고인돌의 별자리 새김문화와 신석기 시대 원양 어로 암각화의 존재가 고조선의 앞선 해양력을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또 고조선 말기에는 제나라, 연나라 등 대륙 세력의 위협에 집중해야 했기 때문에 고조선 남쪽 주변부인 강화도에 대규모 군사 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없었다고 해석했다.
이어 정족산성은 BC 2천300년쯤 고조선 초기 세력권이 한반도 남쪽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토착 해양세력과의 갈등에서 건립됐다고 추론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초대 단군 시기에 첨성단과 삼랑성을 쌓았다는 세종실록지리지의 공식 기록을 뒷받침하는 단초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