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불법조업 어선 단속과 건설현장 관리, 도시 홍보영상 촬영 등 전국 최초로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드론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드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확대를 위해 드론 전문업체인 ㈜숨비를 사업 시행사로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시는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앞서 인천신항 관리부두에서 드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지원사업 시연회를 가졌다.
이번 시범사업은 불법조업어선 지도단속, 도심지 내 건설현장의 비산(미세)먼지 발생사업장 점검 및 관리, 인천시 도시 변화에 대한 기록물관리와 홍보영상 촬영 분야로 구성돼 있다.
어업관리의 경우 일반해역과 연평어장일대에서 임무가 수행될 예정이며, 우리 어선의 안전조업 지도 및 해양사고 예방, 어장구역 이탈지도 강화, 불법어업 지도단속, 해난사고 신속대응조치 등을 수행한다.
또 도심지 내 건설현장의 비산먼지 점검은 인천 전 지역의 비산먼지 발생사업장에 대하여 지도점검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인천지역의 역동적 경관변화 모습을 드론을 활용해 촬영한 후 시각자료로 구축·관리하여 시정 홍보에 활용하고 향후 인천의 기록물관리 빅테이터 구축에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에 사업자로 선정된 지원사업에 시행사로 선정된 ㈜숨비의 DMS(Drone Mobile Station)은 LTE 통신망을 통해 드론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송수신 거리의 제한없이 원격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후면의 헬리포트에 드론의 자동 이착륙 지원 및 헬리포트에 착륙한 드론을 자동으로 충전시키는 무선충전시스템도 구축돼 재난 및 재해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응과 효율적 운용에 기대가 크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드론산업의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해 올해는 공공서비스 분야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하반기에 종합적인 평가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는 점증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