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관내 학교에 배치된 전문 상담인력이 학교당 0.5명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인천 초·중·고교 506곳 중 전문상담교사나 상담사가 배치된 학교는 52%인 261곳으로 집계됐다.
이들 학교에서 근무 중인 상담인력은 전문상담교사가 104명, 전문상담사가 157명으로 총 261명이다.
또 상담 건수는 초등학생들이 중·고등학생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과 산하 5개 교육지원청에 마련된 ‘위(Wee) 센터’(학생 상담실)의 올해 초등학생 상담 건수는 이달 기준 7천300건에 달한다.
중학생 1천450건과 고등학생 2천800건에 비해 3배 가량 많다.
하지만 학교폭력 발생 건수나 생활지도 중점 학교 등을 고려해 전문상담사를 우선 배치하다 보니 상담인력이 오히려 중·고교에 집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초등학교의 상담인력 배치율은 공립 초교 243곳 중 상담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학교도 무려 79%(192곳)에 달했으며 사립 초교 5곳에도 상담인력이 단 1명도 없었다.
현재 시 교육청은 학교폭력 가해자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어 초교의 상담인력 확대방안을 고려 중이다.
현재 전문상담교사는 교육부가 배정하는 정원에 따라 임용하게 돼 있다.
교육감 소속 근로자인 전문상담사 역시 정원이 정해진 직종으로 학교장이 채용, 공립 학교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교육부에 전문 상담 교사 배정 인원을 늘려달라고 요청해 내년에 32명을 확충할 예정이다.
올해 배정인원은 6명이다.
또 외부전문상담센터와 협력해 각급 학교에 상담인력을 지원하고 280명으로 꾸려진 학생 상담 자원 봉사자회를 운영해 학생 상담을 이어갈 계획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아직 국내 전문 상담인력 풀이 넓지 않은 데다가 뽑는 정원이 정해져 있어 한 번에 많은 인력을 확충하기는 쉽지 않다”며 “상담인력 수급 계획을 세워서 매년 꾸준히 인력을 늘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