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유휴부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도시재생의 자산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26일 인천발전연구원의 ‘인천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원도심 재생모델 연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들어 전국의 많은 지자체들이 폐선부지 전 구간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광주 푸른길 공원, 서울 경의선 숲길 등과 같이 쇠퇴된 도심내 부족한 선형공원을 조성해 도시재생까지 연결되는 성공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인천에서도 수인선을 비롯한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시설이 폐선되며 약 30㎞에 달하는 부지가 발생했으나 중장기적 활용방향을 찾지 못해 일부 사업자에게 매각되거나 도로 등 타용도로 전환돼 연속적인 공공 개발공간으로서 활용가치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현재 폐선구간 중 타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유휴화된 철도 유휴부지는 중구 신흥동 일대를 비롯해 약 6㎞ 정도이다.
이 유휴부지에는 쓰레기, 폐기물, 잡초 등이 어수선하게 있는 공간으로 방치돼 있고 인근 지역 또한 노후하고 열악한 주거지를 형성하며 상권침체 또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인발연은 ‘철도 유휴부지 활용사업’을 통해 이 유휴부지의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고 주민친화형 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주변 지역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하면 공공성을 띤 통합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인발연 조상운 연구위원은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은 계획 구상부터 주민 등이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공공공간이 될 수 있도록 사후 관리·운영 방안의 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