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운행할 수록 적자… 광역버스 ‘밑빠진 독’市, 재정지원책 고심

지하철망 확충으로 승객 감소 경영수지 악화
업계 준공영제 요구…市 재정확대 우려 난색

인천 광역버스 업계의 재정난 호소에 인천시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에 본사를 둔 광역버스 업체는 모두 6개 업체로, 서울과 연결된 19개 노선에서 258대의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수인선과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 등 지하철 교통망 확충 여파로 승객이 감소하며 경영수지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6개 업체 버스의 지난 해 이용객 수는 1천433만6천 명으로 전년도 1천541만1천 명보다 6.9% 줄었다.

지난 해 광역버스 1대당 하루 평균 표준 운송원가는 58만8천 원인 데 실제 운송수입금은 32만4천 원이다.

이에 광역버스 업계 적자는 지난 2015년 12억 원에서 2016년 19억 원으로 급증했고 지난 해에도 비슷한 수준인 18억 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광역버스 6개 업체는 ‘광역버스에도 준공영제를 도입해달라’고 호소문을 최근 시에 전달했다.

버스 준공영제는 시가 대중교통의 공공기능 유지를 위해 버스업체의 적자 일부를 보전해주는 제도로, 지난 2009년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도입했지만 광역버스는 지원 대상이 아니다.

광역버스 업계는 “수 년 전부터 시에 광역버스 경영실태를 보고하고 재정지원을 요청했지만 반영이 되지 않고 있다”며 “운송 수입 적자가 개선되지 않으면 운행을 중단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시는 광역버스 업계의 어려운 재정 상황을 이해한다면서도 준공영제 확대에는 난감해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 해 준공영제 예산으로 904억 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점 때문에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인천시의회·업계·시민사회단체와 충분한 시간을 갖고 깊게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박창우기자 pcw@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