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원도심에 방치된 폐·공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나섰다.
15일 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체계적인 빈집 데이터 관리를 위해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빈집 실태조사 및 정보시스템 구축과 병행해 시급한 원도심의 폐·공가를 철거, 안전조치, 재활용하는 맞춤형 관리 사업을 추진한다.
폐·공가는 노후 불량해 장기간 미사용됨에 따라 안전사고 유발, 범죄 장소 제공 등의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주택이다.
시는 지난 2013년도부터 폐·공가 관리사업을 추진해 총 2천550동 중 919동에 대한 정비를 진행했으며 남은 1천631동에 대한 정비도 주민과 협조를 통해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시는 붕괴, 균열 등 안전사고 우려가 있는 건물은 철거·폐쇄하고 우범지역의 폐·공가는 관할 경찰서 및 자율방범대와 협조를 통한 주·야간 순찰강화 등으로 치안을 강화한다.
또한 개선해야 할 것이 있으면 소유자별로 권고하고 균열이 심하거나 담장이 없는 등 노후 건물은 접근금지 안내표지판 등을 설치해 안전과 범죄예방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