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베이비 붐 세대 맞춤형 일자리 프로그램 개발 절실”

경기연, 일자리 보고서 발표
핵심직무역량 감퇴 등 이유 불안
일자리 전달 체계 구축 등 제안

‘베이비붐 세대’인 50·60세대가 은퇴 후 고용불안을 겪을 수 있자 이들을 위해 생애경력설계서비스에 기반한 맞춤형 일자리 패키지 프로그램이 개발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5일 ‘50·60세대 실직과 은퇴에 대비하는 일자리 안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고령사회에서 이들의 노동력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않으면 향후 전체 인구에서 비경제활동인구의 비중이 늘어나 국가 경제의 활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 조사결과 2016년 기준 국내 50·60세대 인구는 1천340만 명으로 생산가능인구의 30.9%를 차지한다. 2025년에는 31.5%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의 은퇴 연령은 평균 49.1세로 법정 퇴직연령 60세 이전으로 나타났고, 50·60세대의 상당수가 비정규직으로 평균 72세까지 근로생활을 지속하는 경향이 있었다.

국내 노동자의 핵심직무역량은 청년기의 경우 OECD 최고 수준이지만 중장년기엔 최하위권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50·60세대의 불안정한 일자리는 핵심직무역량 감퇴와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역량 부족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봤다.

이어 이들은 비교적 낮은 사회적 지지와 가족 해체에 의한 빈곤 위험성이 높았으며, 특히 1인가구는 정규직에서 비정규직, 정규직에서 실업, 실업에서 비경제활동으로 이동 가능성이 높아 건강·주거의 불안정성이 사회적 소외까지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보고서는 경기도 정책으로 ▲경기도형 맞춤형 서비스 패키지 프로그램 등 일자리 지원 방안 개발 ▲일자리 전달체계 구축 ▲경기도 50·60세대 소상공인·자영업자 역량 강화 ▲50·60세대 일자리 질의 개선 ▲사회공헌형 일자리 확대 등을 제안했다.

경기연구원 최석현 연구위원은 “근로의욕이 있는 50·60세대를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및 직업훈련 서비스 확대에서부터 은퇴에 필요한 자산 관리 서비스까지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이연우기자 27yw@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