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의 주민 갈등을 해소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원활한 정비사업 추진을 위해 현장방문 합동대책회의, 주민설명회, 전문가 시민회의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민들과 소통을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소통사업은 그 간 정비사업 정체로 인한 주민 간 의견 대립과 소통부족 등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정비사업 정상화를 위한 실마리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합동대책회의는 이 달부터 오는 6월 중순까지는 대상구역을 유형별·단계별로 현장을 방문해 사전조사를 거쳐 남동구, 중구에 소재하고 있는 정비구역을 시작으로 올해 63개 구역에 대해 순차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조합과 시공사, 구역 내 주민 등 이해관계자가 참석해 사업추진 방안 등을 논의하고 건의사항을 청취할 계획이다.
또한 주민들의 요청이 있을 때는 시기에 관계없이 시가 직접 찾아가는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설명회의 주된 내용으로는 감정평가, 관리처분 등 이해가 어려운 정비사업 내용에 대한 설명과 가로주택정비사업·주거환경관리사업 등 해제구역 관리 방안 등의 시책에 대해 홍보하고 질의·답변의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사업이 정체된 조합의 정비사업 출구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시민회의를 개최해 조합 의견청취와 전문가별 대안 제시 등 토론을 진행, 사업추진·중단·특성화 방향 등 구역에 맞는 지원도 계획하고 있다.
앞서 시는 변호사, 회계사, 도시계획 및 감정평가사 등 정비사업 관련 시민회의에 참여할 전문가 24명을 구성했다.
시 관계자는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주민소통으로 주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갈등을 조정하는 등 주민들이 정비사업에 대한 추진방향을 찾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인천지역에서 전면 철거방식으로 진행하는 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 구역은 94곳에 달한다.
하지만 조합과 시공사, 주민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상당수 구역의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