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7대 총선이 열린우리당 압승으로 막을 내리면서 앞으로 경기도가 추진하려는 각종 사업에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도가 추진중이거나 새로 시작할 현안에 대해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과의 공조체제가 불확실한 데다 손 지사 측근의 한나라당 소속 후보들이 모두 낙선해 원활한 도정 추진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향후 손 지사의 돌파구 모색에 지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17대 총선 결과 경기지역 49개 선거구 가운데 열린우리당이 35석, 한나라당 14석을 차지한데 반해 민주당을 단 한 석도 확보하지 못했다.
도는 지난 16대때 41석 가운데 절반이 넘는 21석을 한나라당 의원들이 장악하면서 손 지사의 든든한 지원병이 됐었다.
하지만 총 49석으로 의석이 늘어난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고작 14석을 얻는데 그쳤고 민주당은 단 한 석도 얻지 못해 도정추진에 막대한 차질이 예고되고 있다.
그렇잖아도 그동안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수정법폐지 등 각종 사안을 놓고 정부와 힘겨루기를 벌여왔던 도 입지가 더 좁아질 수밖에 없게 됐다.
이런 와중에 문희상(의정부갑), 강성종(의정부을) 등 열린우리당 북부지역 당선자들이 총선공약으로 내놓은 분도추진을 본격 추진할 태세여서 손지사의 행보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공산이 커졌다.
이들 당선자들은 17대 국회 원구성이 마무리되면 즉시 정부내에 ‘경기북도신설추진기획단’을 설치해 경기북도 신설을 강력 추진할 방침이다.
도는 그동안 수도권 역차별법인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하는 과정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 경기도 출신의원들의 지원을 받아 공조체제를 유지, 도의견을 상당히 반영하는 성과를 거뒀었다.
그러나 ‘경기도공화국’이라는 말까지 들었던 손 지사가 국가균형발전선포식에 참여하지 않아 정부의 미움을 사고 있어 열린우리당 의원들과의 공조체제가 더 불확실해졌다.
열린우리당 김진표(수원영통) 심재덕(수원장안) 이기우(수원권선) 당선자는 초반부터 이의동개발에 대한 문제점 지적을 총선승리의 핵심전략으로 채택해 일찌감치 도를 견제해 왔다.
이 밖에도 수원을 비롯해 안산, 평택, 남양주, 시흥 등 대부분 지역에서 열리우리당 소속 후보들이 의석을 싹쓸이 해 대부분이 한나라당 소속인 지자체자장들의 업무추진에 막대한 지장을 받게 돼 손 지사의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도 고위 관계자는 “이번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압승을 거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도정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며 “지금껏 해왔던 것처럼 도현안에 대한 의원들과의 공조체제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