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상당수가 올 상반기 청년 채용에 관해 미정이거나 의사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3일 발표한 ‘청년 일자리 대책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32.2%는 상반기 청년 채용 의사가 있다고 답했고, 39.3%는 미정, 28.3%는 채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청년 채용 의사가 있는 업체들의 채용 계획 규모는 평균 2.9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들이 가장 많이 꼽은 중소기업 청년 고용 확대 개선 노동현안 과제는 ‘대·중소기업 임극 격차 완화’(47.7%)였다.
‘최저임금 제도 합리적 개선’(18.0%)과 ‘중소기업 근로자 복지지원 확대’(17.3%) 등도 뒤따랐다.
중소기업이 청년층 유입을 위해 개선해야 할 분야로는 ‘임금 수준 개선’(85.3%)과 ‘근무.작업시설.환경 개선’(42.0%), ‘근로시간 준수 강화’(28.7%) 등이 손꼽혔다.
또 응답업체의 65%는 정부가 발표한 ‘청년 일자리 대책’이 청년 고용절벽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 가운데 59.5%가 적정한 추경 편성 시기로 ‘4월 국회 통과 등 조속히 처리’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2~29일 중소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기관 한국NRC를 통해 진행됐다.
/이주철 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