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여 동안 지연되고 있는 경기북부 접경지역 4년제 대학유치가 학교용지 부지가 없는데다 과도한 재정적 부담으로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특히 정부가 북부 접경지역 4년제 대학유치에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는데다 17대 총선에서 다수의석을 차지한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도-당(한나라당) 당정협의회 결정사항을 제대로 수용하지 않을 경우 북부지역 교육인프라구축에 막대한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0일 도에 따르면 경기북부 접경지역 4년제 대학 유치 추진사항을 비롯해 10여개 안건을 놓고 올해 첫 도-당(한나라당)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도는 이날 협의회에서 접경지역의 산업기반과 생활여건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2년간 끌어왔던 경기북부 4년제 대학유치에 도와 의회는 물론 지역 국회의원들과 초당적으로 대처키로 하고 유치를 연내 마무리 짓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4년제 대학유치가 정부, 대학교육협의회, 타지자체 등의 반대상황에서 적정 학교용지가 부재하고 명문대학 신청시 기반시설 확충에 따른 도의 재정적 부담이 클 것으로 보여 난항이 예상된다.
우선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방대학 육성을 통한 지역 균형발전 정부시책과 배치된다면 일찌감치 반대입장을 고수해왔다.
또 대학교육협의회 및 전문대학협의회 등 대학관련 단체들은 학생수 부족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지방대학 발전에 역행한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강원, 충남, 충북 등 도 인접지역 지자체들 역시 국가균형발전이 구체화된 후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관련법을 개정해 추진하자는 입장으로 4년제 대학 유치가 또 미뤄질 가능성이 짙어졌다.
여기에 지난해 9월 정부가 연천, 동두천 등 10개 지역의 학교부지를 현지 답사한 결과 모두 부적합한 것으로 결정돼 부지확보가 4년제 대학 유치에 가장 큰 관건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2000년 ‘접경지역지원법’을 제정해 파주 LG필립스 공장과 김포?파주신도시 건설 등을 추진한 바 있다”며 “관계기관 협의와 관계법 개정을 연내 마무리지면 2개 정도의 4년제 대학을 북부 접경지역에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21일 대학유치를 위한 시?군별 담당자 회의를 개최하고 4월말까지 행정지원, 진입로와 하수도 등 기반시설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대학유치 인센티브안’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