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는 해야 하는 데 지방선거 결과를 예측할 수 없으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판문점 회담과 북미정상회담 개최 등 남북 관계를 비롯해 국제 정세가 급변하게 변하자 남북교류 사업 밑그림을 그려야 할 경기북부 접경지역 시·군 공무원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단체장이 공석 또는 공천을 받지 못해 다음 달 지방선거에서 교체되기 때문이다.
10일 경기북부 10개 시·군 중 단체장이 공석이거나 현역 시장·군수가 다음 달 지방선거에 나서지 못하는 곳은 고양시, 파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연천군 등 5곳이다.
파주시는 이재홍 전 시장이 뇌물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지난해 12월 당선무효형이 확정됐다.
고양시와 연천군은 현역 시장·군수가 공천을 받지 못해 50여 일 뒤 물러난다.
또 동두천시는 3선 연임 제한에 걸려 선거에 나오지 못하고 포천시는 김종천 시장이 건강 문제로 공천을 반려했다.
단체장이 바뀌는 상황에서 남북교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싶어도 동력이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 해당 지역 공무원들의 속내다.
해당 지역 담당 공무원들은 “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는 중요한 정책 결정을 할 수 없다”며 “지방선거가 끝나야 남북교류 사업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유소년 축구대회 개최와 대북 양묘장 조성 등 경기북부 시·군 중 가장 활발하게 남북교류 사업을 벌였던 연천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연천군 관계자는 “지금은 누구도 나설 수 없는 상황”이라며 “새 군수가 선출돼야 남북교류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6·13 지방선거 특별취재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