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동 일대 337만평에 추진되고 있는 ‘첨단?행정신도시개발’사업이 열린우리당이 부정적인 입장에 강력히 제기하고 있는데다 행자부의 투자심사까지 장기 유보될 조짐을 보이면서 벽에 부딪치게 됐다.
22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수원 이의동일대 337만평에 인구 6만명을 수용하는 주택 2만호와 10개 행정기관이 들어서는 ‘경기 첨단?행정신도시 개발계획’을 건교부와 동시에 발표했다.
하지만 17대 총선에서 수원지역에 당선된 김진표(영통) 심재덕(장안) 이기우(권선) 당선자들은 도가 추진하는 이의동개발에 대해 현실가능성이 떨어진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들 당선자들은 “도가 6조원에 달하는 재원조달 방안을 확정짓지 않은 채 이의동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도가 개발사업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대단위 신도시를 조성할 경우 난개발과 과밀개발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정협의회에서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계획의 전면수정을 주장할 경우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및 고시,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승인 등 앞으로 남은 절차에 차질이 빚어질 공산이 커졌다.
이와 관련 도는 지난 14일 이의동에 산?학?연 첨단 R&D단지와 도청, 법원 등 신청사 건립 안건을 포함해 총 4건을 행자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에 의뢰했지만 계획이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위원회로부터 재검토 판정이 내려질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현재 도는 산?학?연 R&D단지 조성을 위해 올해 842억4천만원의 지방채를 발행하는 등 자체 예산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개 공공기관을 유치해 4천40명이 근무할 수 있는 신행정타운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입주기관이 결정되지 않았으며 당초 5만평으로 계획했던 도청의 면적이나 규모 또한 불확실한 실정이다.
여기에 이의동개발을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행정신도시의 녹지를 제외하면 당초 도가 발표한 인구밀도가 54명에서 150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또 2만호의 주택을 건설해 6만명-10만명에 가까운 인구를 수용할 경우 도로, 부대시설 건설에 따른 녹지축 훼손을 초해한다며 개발계획 전면 철회를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도 고위 관계자는 “이번에 투자심사에서 재검토 결정이 떨어질 경우 하반기에 계획을 재수립해 심사의뢰를 한 후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과 함께 개발계획 승인을 받겠다”며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할 것이라는 전망은 기우에 불과하며 문제가 발생할 때는 긴밀한 당정협의를 통해 합의점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