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공사를 인천시로 이관하면 재정악화를 불러올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주장은 최근 ‘흑자로 돌아섰다’는 인천시의 입장과는 정면 배치돼 앞으로 지방선거 후 매립지공사의 이관문제에 대한 갈등이 지속될 전망이다.
이재현 더불어민주당 인천 서구청장 후보는 12일 ‘매립지 팩트체크’라는 선거공약서를 배포하고 이같이 주장했다.
이 후보는 2015년 4월 매립지공사 사장으로 임명됐으며, 올해 1월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했다.
이 후보는 매립지공사 재정수지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09년 66억 원이었던 적자는 점점 늘어나 2012년 992억 원으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 2015년 180억 원으로 줄었다. 이 기간 적자규모는 총 3천234억 원이다.
2016~2017년엔 각각 189억 원, 40억6천만 원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이는 탄소배출권 판매 등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이 후보는 지적했다.
탄소배출권은 2017년이 마지막 판매로 더 이상 수입이 발생하지 않는다.
매립지공사는 2016년 270억 원, 2017년엔 141억 원에 달하는 탄소배출권을 판매했으며, 적립금 이자 등에서도 수입이 발생했다.
이 수입을 배제하면 2016~2017년에도 각각 158억 원, 137억원 의 적자가 발생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후보는 또 자원순환기본법 시행에 따라 2020년까지 폐기물 반입량이 급감, 재정적자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막대한 재정적자에 대한 아무런 대책 없이 매립지공사를 이관하는 것은 인천시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것”이라며 “매립지공사 인천시 이관을 반대한다”며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시 담당자는 “이 후보 주장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다”며 “적자구조 개선에 대해서는 이미 방안을 마련해 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