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들이 무인계산대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2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지난 1월 죽전, 왕십리, 성수 3개 점포에 무인계산대를 처음으로 시범 도입한 지 6개월 만인 이달 현재 전국 이마트 144개 점 가운데 27.8%에 해당하는 40개 점에서 무인계산대를 운영하고 있다.
무인계산대는 고객이 직접 상품을 스캔한 후 카드 계산과 멤버스 적립 등을 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직원 계산대와 함께 무인계산대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이달 19일까지 이마트 무인계산대 누적 이용 건수는 총 81만 건으로 집계됐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 기간 이마트 구매고객 수가 1억2천만 건가량인 점을 고려하면 무인계산대 이용 고객 비중은 아직 1% 미만”이라고 설명했다.
주로 소량 구매고객이 대기시간을 단축하고자 무인계산대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 고객이 한 번에 구매하는 상품 가짓수는 대략 10∼12개이지만 무인계산대를 이용한 고객의 1회 평균 구매 품목 수는 4.7개로 절반에 못 미쳤다.
이마트 관계자는 “무인계산기 도입은 전자가격 표시기, 자율주행 콘셉트 스마트카트 일라이(eli), 인공지능 안내로봇 페퍼(Pepper)와 같이 미래 기술을 유통업에 접목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라면서 “하반기에도 무인계산대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앞서 지난해 4월 양평점에 처음으로 무인계산대를 도입한 이후 현재 수원점 마켓D, 서초점, 김포한강점 등 총 10개 점포에서 87대의 무인계산대를 운영하고 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초기에는 20∼30대 젊은 고객이 주로 이용했지만, 줄을 서지 않아도 되고, 무인계산대를 사용해 본 고객이 늘면서 대형마트 주 이용 고객층인 30∼50대도 젊은층과 비슷한 정도로 무인계산대를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올해 안으로 무인계산대를 40여 개 매장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