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서울시의 일방적인 교통카드시스템 도입 제안을 거부하고 독자개발로 기본방침을 세운 가운데 지자체간 교통카드가 상호호환되지 않을 경우 시민불편이 가중될 전망이다.
26일 도에 따르면 서울시는 대중교통체계 개편과 관련, 신교통카드의 이름을 ‘티머니(T-MONEY)’로 결정하고 오는 7월 1일부터 292개 노선(4천450대)에 도입한다.
이와관련 도는 서울시와 서울도심과 수도권지역을 연결할 광역버스 43개 노선과 도내 140개 노선(3천700여대)에 호환가능한 신교통카드 도입을 놓고 협의해왔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가 도의 단독개발안을 수용할 수 없는 입장을 거듭 밝히자 도는 경기도버스운송조합과 공동으로 교통카드시스템 독자개발로 가닥을 잡았다.
특히 교통카드시스템 구축 전문 업체인 인텍크산업(주)이 교통카드시스템 구축(안)에 참여의사를 적극 표명하고 있어 독자구축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도와 시가 개발한 교통카드시스템을 호환할 수 없을 경우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 측은 도의 독자개발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한편 자체개발한 신교통카드 단말기에 기존 경기도카드 사용을 줄곧 제안해 왔던 터라 상호호환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도는 이에 대해 독자개발로 잠정 결론내고 서울시 신교통카드와 결재호환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독자 시스템 구축방안을 보면 시스템구축비는 기존 시스템 업자를 통해 서울보다 최소 비용으로 하고 ‘티머니’와 별도로 독자개발한 후 상호 호환하는 방식을 택한다. 또 요금은 서울과 별도로 적용하고 자체적으로 요금체계를 변경한다.
그러나 도내 시.군은 서울과는 달리 면적이 넓어 독자요금체계 구축이 힘들다는 지적이다.
서울시가 서울운영법인이 경기버스까지 정산하고 모든 운영권을 갖도록 요구하고 있어 자체적인 요금체제 변경도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서울에서 경기도로 들어오는 3천700여대의 버스에 신형단말기를 도부담으로 교체할 경우 비용도 만만치 않다.
한편 도는 서울 신교통카드 수용시 기존계약자 및 시스템업자의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 업체를 사업에 참여시키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앞으로 통합거리비례제에 따른 무료 환승관계는 서울시와 별도 협의하고 철도청, 인천시와 공동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병행 추진할 방침이다.
도 고위 관계자는 “서울에서 도로 유입되는 3천700대의 버스단말기 교체비용도 만만치 않은데다 서울과 도내 시.군 면적이 달라 요금체계를 구축하는데도 이견이 컸다”며 “광역버스 지선이 확정되면 본격적으로 독자적으로 교통카드 시스템을 구축해 7월부터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