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여왕벌 위치추적장치 기술을 2일 민간업체에 이전했다.
‘여왕벌 위치추적기’는 여왕벌에 초소형 태그를 부착해 여왕벌의 움직임에 따라 태그의 미세자력 변화량을 여러 개의 센서가 동시에 측정해 여왕벌 위치를 30초 이내에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양봉농가에서는 벌통을 늘리거나 일벌이 정상적으로 활동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왕벌의 위치를 확인해야 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위치추적장치에 설치된 LCD창을 통해 벌통 안에 3차원으로 여왕벌 위치가 표시돼 양봉농가가 쉽게 알 수 있고 소형 2차 리튬이온전지를 부착해 휴대하기 쉽다.
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절전기능으로 전환돼 배터리 한 개로 농가에서 하루 종일 작업할 수 있다.
여왕벌 위치추적기 상용화로 양봉농가에 보급되면 양봉농가가 가장 어려워했던 여왕벌 찾기가 쉬워져 노동력 절감 등 양봉농가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오전 경기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실에서 ㈜타우테크와 ㈜센서뷰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기술이전 업체들은 오는 2021년까지 앞으로 3년간 매출액의 3%를 기술사용료를 내고 여왕벌 부착용 태그(자석)와 태그 위치 추적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여왕벌 위치추적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농업기술원은 10~100배 작업 속도 개선과 꿀 생산량 2~10배 가량 향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인태 경기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여왕벌 위치추적 장치개발은 스마트 농업으로 가는 한 부분이며 이에 만족하지 않고 이 기술을 활용해 벌의 생태연구도 진행할 것”이라며 “향후 스마트 양봉시스템으로 발전시켜 경기도가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서 농업을 이끌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업기술원은 여왕벌위치추적기를 2017년 1월에 연구개발 착수하여 같은 해 9월에 특허출원을 완료하고 현장평가, 농가시연 등 현장적용평가를 거쳐 이번에 민간업체에 기술이전 후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