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버스업체가 버스 한대 당 하루 10만원의 적자로 줄도산 위기를 맞고 있어 ‘버스노선 공영제’ 도입이 시급하다.
19일 도에 따르면 현재 시외 및 시내버스 운송업체는 총 53개로 광역버스를 포함해 총 1만 여대가 운행 중에 있다.
그러나 53개 버스업체들은 평균 부채비율이 556%에 이르는 상황에서 운송원가 대비 수입이 극히 저조해 버스 한대 당 하루 10만원 꼴로 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전체버스 중 일반버스(시내운행)의 운송원가는 33만2천원이지만 하루 평균 수입은 고작 22만6천원에 그쳐 10만6천원을 손해보고 있다.
또 운송원가가 37만6천원에 이르는 좌석버스는 하루 평균 수입이 35만6천원으로 2만원, 직행좌석은 38만1천원의 운송원가 대비 수입은 33만원으로 5만1천원 적자가 각각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도내 버스업체의 자본금 대비 부채비율이 높아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내버스업체는 평균 20억원의 자본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부채는 평균 106억원으로 부채비율이 527%에 이르고 있다.
또 일부 공영제가 시행되고 있는 농어촌버스는 자본금 2억3천만원에 부채는 14억2천만원(605%), 시외버스는 자본금 29억2천만원에 부채 157억원(537%)으로 평균 부채비율이 556%에 달해 적자해소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와 관련 도는 적자노선과 수익노선을 배정해 이익금을 분배하는 방식의 ‘버스노선 공영제’를 도입키로 하고 연구용역 중에 있지만 노선횟수에 대한 민원, 운송원가 증가, 부대시설 구축비용 발생 등으로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실제로 고양시는 지난 94년 공영제를 도입하고 3개 노선(24km, 배차간격 60-120분)에서 12대를 운영했지만 적자노선 증가에 따른 업체들의 운행기피로 지난 2001년 10월 폐지했다.
또 과천시도 지난 93년부터 5개 노선(63km, 배차간격 60분)에서 5대를 시범 운행에 들어갔지만 해마다 만성적자를 호소하는 업체들의 민원으로 폐지를 고려 중에 있다.
도는 버스업체들의 만성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총 238억원을 들여 14개 도시를 선정, 시내버스 노선공영화 사업을 추진키로 결정하고 늦어도 하반기 내 공영제 도입을 위한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실제 버스업체 만성적자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서울시가 요금을 거리비례로 적용해 이용률 감소로 이어지면서 적자폭이 커질 수도 있다”며 “연구용역이 끝나는 대로 완전 또는 부분 공영제나 노선입찰제 등을 도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