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2년 10월 국회의 비준동의안 처리로 발효된 한.미간 연합토지관리계획(LPP) 협정에 따라 국방부가 평택지역 추가공여 대상지에대한 매입작업을 시작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일 한국감정원.한국토지공사와 지역주민 등에 따르면 국방부와 미군측은 지난 2002년 3월 미군측이 전국 28개 미군기지및 시설과 3개훈련장 등 모두 4천114만평을 2011년까지 우리측에 반환하는 대신 의정부.평택 등 일대 154만평을 우리측이 매입, 미군에 제공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LPP 협정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추가 공여지 가운데 오산공군기지 인근 평택시 서탄면 금각리.장등리.적봉리 및 진위면 하북리 일대 토지 36만2천평에 대한 매입작업을 한국감정원에, 팽성읍 대추리 25만1천평(국.공유지 4만여평 포함) 매입작업을 한국토지공사에 각각 위탁, 추진하고 있다.
오산기지 인근 토지매입을 위탁받은 한국감정원은 지난해 11월 보상계획을 공고한데 이어 보상가 산정 등을 거쳐 지난달 26일 해당 부지내 토지 400여필지 소유주 250명에게 보상협의 요청서를 발송했다.
또 미군기지 확장 반대운동 차원에서 땅한평 갖기운동에 동참, 금각리에 600여평의 토지를 취득한 시민단체 회원 등 300여명에게도 역시 요청서를 보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상협의에 응한 토지소유주는 극히 일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감정원 관계자는 "지금까지 보상협의에 응한 토지소유주 수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으나 미군기지 확장반대 서탄면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협의에 응한 사람은 극소수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말 완료를 목표로 평택읍 대추리 일대 부지 매입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토지공사도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공사는 지난해 10월30일 토지보상계획을 공고한 뒤 올 1월20일부터 매입대상 지역내 사유지 302필지 소유주 122명과 보상협상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곳 토지소유주들 역시 대부분 협상에 응하지 않는 것은 물론 토공측의 우편물 수취를 거부, 현재까지 보상에 응한 주민은 전체 대상의 10% 이하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군기지 확장반대 팽성읍대책위원회측은 "공직자와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소유주 등 10여명만이 협상에 응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으며 토지공사 관계자도 "매입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매입작업 담당 기관들이 거래가의 60∼70% 수준의 보상액의 제시하고 있으나 보상액의 많고 적음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생존권 사수차원에서 앞으로도 보상협상에 절대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