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통계청 ‘수원 인구 변화 보고서’
수원지역에서 여성 1명이 평생 출산할 수 있는 평균 자녀 수가 채 1명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62년 통계 작성 이래 56년 만에 최저치로 기록됐다.
경인지방통계청 수원사무소가 29일 발표한 보고서 ‘최근 10년간 수원시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화’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영통구(1.08명)과 권선구(1.07명)은 1명 이상을 유지했다. 반면, 장안구(0.86명)과 팔달구(0.77명)는 2017년부터 1명 미만으로 떨어졌다.
수원시민 중 30.7%는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을 양육비라고 답했다. 이어 일·가족 양립 여건과 환경 미흡(24.4%), 직장 불안정·일자리 부족(17.4%), 결혼·가족 가치관 변화(12.7%), 주거비 부담(11.5%) 등의 순이다.
영통구 주민들은 다른 3개 구민과 달리 자녀 양육비 부담보다 일·가족 양립 여건과 환경 미흡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노령화도 심각하다. 만 14세까지 유소년 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노령 인구 비율인 노령화 지수는 69.9명이었다. 팔달구가 133.2명으로 가장 높고 영통구는 38.7명에 그쳐 큰 지역차를 보였다.
또 지난해 말 수원시 등록 인구는 120만1천명으로, 10년 전보다 13만4천명 늘었지만, 2017년보다는 1천500명 줄어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2035년 수원시 총인구가 138만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평균 연령은 45.1세로 예상된다. 수원시민 2가구 중 1가구 이상은 자기집(55.5%)에서 거주 중이고, 절반 가량(49.8%)가 거주지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수원시 월 평균 가구 소득은 200만~300만원 미만(17%), 300만~400만원 미만(16.2%), 400만~500만원 미만(15.3%), 100만~200만원 미만(14.9%), 100만 미만(12.4%), 500만~600만원 미만(9.8%), 700만원 이상(8.4%), 600만~700만 미만(5.9%) 등 순이었다.
월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 비율은 영통구(11.9%)가 가장 높았지만 100만원 미만 가구 비율은 팔달구(21.6%)가 가장 높았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