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규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주택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대다수 주민들은 도의 시급한 해결과제로 도로건설과 교통문제를 꼽았다.
특히 지역경제 활성화와 교육환경 개선도 해결해야 할 지역현안으로 선정했지만 모르겠다는 응답도 높게 나타나 도정에 대한 무관심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창간 2주년을 맞아 코리아리서치센터와 공동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경기도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지역현안’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27.3%가 ‘도로건설 및 교통문제 해결’을 꼽았다.
이와 관련 도는 교통문제 해소를 위해 도로관리에 오는 2007년까지 총 4조7천500억원을 투입해 현재 83%인 도로포장율을 오는 2007년까지 88%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제2순환고속도로 및 제2경부고속도로를 조기에 건설하고 국도기능을 상실한 구간의 우회도로를 건설할 방침이다.
이어 국가지원 지방도 및 지방도 등 간선도로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는 한편 버스전용차로 설치 및 상습 정체구간을 집중 정비한다.
도는 대중교통체계 개선을 위해 시내?외 버스 경영개선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해 ‘버스공영제’를 도입하는 한편 공영주차장을 확충할 방침이다.
하지만 요금체계를 놓고 서울시의 거리비례제를 그대로 적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주민들의 요금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다음으로 응답자의 15.2%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12.0%가 ‘교육환경 개선’을 각각 시급한 해결현안이라고 생각했다.
도는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청년층 취업 및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 국내 근로자 지원을 위해 노동복지기금을 확충하는 한편 노동복지회관 등을 보수해 근로 환경 개선에 나선다.
특히 도는 1천448명의 우수 과학기술인력 양성해 기업들에게 지원하는 한편 수원 이의동에나노특화Fab센터와 산?학?연 첨단 R&D센터 구축 등 지역특화 연구개발 단지 53개소를 육성 할 방침이다.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오는 2007년까지 대학은 현재 33개에서 35개로, 전문대학 34개에서 38개, 고등학교 190개에서 312개, 중학교 351개에서 512개, 그리고 초등학교는 933개에서 1천114개로 각각 확대한다.
이어 응답자 중 9.7%가 ‘환경보호 및 보전’, 5.8%가 ‘부동산 정책 안정화 및 주택문제 해결’, 5.1%가 ‘실업자 문제 해결’ 등을 꼽았다.
특히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취업난(5.1%)의 경우 도내 교통난 해결과 지역경제 활성화보다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사회복지 확대’(4.8%), ‘생활 문화시설 확충’(3.3%), ‘지역편중 문제’(1.8%), ‘각종 규제완화’(0.8%), ‘신속한 민원해결’(0.2%), ‘미군기지 이전반대’(0.2%). ‘기타’(0.45)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한 미군기지 이전 반대(0.2%)에 대해선 사회복지 확대(4.8%)와 생활문화시설 확충(3.3%), 지역편중 문제(1.8%) 및 규제 완화(0.8%)보다 더 낮게 조사돼 실제적으로 도내 여론은 다소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 중 13.4%가 ‘모름?무응답’으로 일관해 도정에 대한 무관심이 여전히 팽배한 것으로 나타나 실제 도민들을 위한 도정운영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