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7일 국회 개원연설을 마친 뒤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여야 각 정당대표들과 환담하면서 야당에 `대화정치'의 문을 열어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 대통령은 "야당도 청와대로 초청해 대화하는 기회를 가져달라"(김원기 국회의장), "국회를 방문해 정책 설명하는 기회를 자주 갖는 게 좋겠다"(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는 주문을 받고, 이같이 화답했다.
노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대화하고 토론하고 국회에 와서 대통령이 자주 소견을 이야기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기회가 허락되면 자주 (국회에) 와서 얘기하는 것이 좋겠다"고 적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야당 의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정책문제뿐 아니라 국가미래와 지향할 가치에 대해 얘기를 나눴으면 하는데, 밀약이나 흥정이 있는 것처럼 보기 때문에 어렵다"며 야당 인사와의 `맨투맨 대좌'는 시기상조임을 시사했다.
노 대통령은 또 천영세(千永世) 민주노동당 의원단 대표가 "민노당은 소수야당이지만 큰 야당"이라며 관심을 요청한데 대해 "민노당의 (국회) 진출을 크게 환영한다"며 "민노당 존재를 정책적으로 존중해 민노당의 국회진출 취지를 살려나갈 수 있도록 각료들에게 지시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노 대통령은 민노당 김혜경 대표가 "몇번의 면담 요청을 거절당했다"고 말하자 "만나서 입장차이만 확인해서 서로 상처를 주는 경우도 있었다"면서 "(만날 때) 선물을 하나 준비해 달라. 저도 선물을 준비하겠다"고 응수했다.
노 대통령은 비교섭단체의 소외문제를 제기한 김학원 자민련 원내대표에게도 "민주당과 자민련의 의견도 마찬가지로 듣고 존중하겠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천정배(千正培) 열린우리당 원내대표가 "소수야당 얘기가 많이 되는데 다수당도 존중받아야 한다"고 하자 "과연 다른 야당들도 모두 유럽에서 여당(Ruling Party)의 반대개념으로 사용되는 `반대당(Opposition Party)'인지는 모르겠다"고 `농반진반'으로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