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8일 수석 원내부대표회담을 갖고 상임위.특위 위원장직 배분, 국회개혁특위 구성문제, 임시국회 의사일정 등에 대해 협의했으나 절충점을 찾지 못해 진통을 거듭했다.
이에 따라 국회는 국회부의장단 선출에 이어 국회법상 이날까지 선출토록 규정돼 있는 상임위원장 선출 시한도 넘겼다.
특히 상임위 구성 및 상임위원장 선출이 계속 지연돼 주한미군 철수, 국민연금 등 시급한 국가안보 및 민생현안을 제대로 다루지 못함에 따라 17대 국회에 대한 비판여론이 커지고 있다.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현재 19개인 상임위.특위 위원장직을 의석수에 따라 열린우리당 11, 한나라당 8개로 나눌 것을 주장한 반면, 한나라당은 비교섭단체를 배려해 열린우리당 10, 한나라당 8, 비교섭단체 1개로 배분하자고 맞섰다.
또 정동영 전 의장과 박근혜 대표가 합의한 국회개혁특위, 정치개혁특위, 남북관계발전특위 등 6개 특위 배분에 있어서도 열린우리당은 3(열린우리당):2(한나라당):1(비교섭단체)을, 한나라당은 3(열린우리당):3(한나라당)을 주장,이견을 보였다.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예결특위의 일반 상임위 전환문제와 관련, 한나라당은 여야가 이미 합의한 만큼 국회개혁특위를 우선 가동해 예결특위의 상임위 전환 문제를 매듭지을 것을 주장한 반면, 열린우리당은 상임위.특위배분과 6개 신설 특위 배분의 동시 타결을 주장했다.
상임위.특위 배분에 있어서도 열린우리당은 운영.법사.문광.재경.통외통.국방.보건복지.건교.정보위 등을 열린우리당이 반드시 차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반면, 한나라당은 역할과 정치적 비중이 비슷한 상임위를 묶어서 여야가 하나씩 나눠 갖자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