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의 초미의 관심사인 주한미군 철수와 한강 이남으로의 기지이전에 대해 찬방양론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미군기지 이전을 높고 동두천과 평택 주민들이 ‘지역경제 파탄’과 ‘베드타운화’를 각각 우려하고 있어 이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지가 창간 2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미군철수와 기지이전이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 가운데 48.7%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고 답했다.
또 ‘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한 응답자도 48.4%에 이르러 주한미군 철수와 기지 한강이남 이전에 따른 안보불안에 대해 입장차가 팽팽한 것으로 분석됐다.
거주 지역별로도 한강 이남의 경우 ‘무관하다’는 응답이 48.4%, ‘위협있다’가 49.0%로 이전하는 지역이나 이전되는 지역의 두드러진 특색이 보이질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하는 동두천시 등 한강이북은 ‘무관하다’가 49.9%, ‘위협있다’ 46.9%로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안보에는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한강이북 주민들은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안보불안 보다는 50여년 동안 형성된 상권이 일시에 쇠퇴하는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 이남지역이 응답자들도 미군철수와 기지이전에 따른 안보위협을 그렇게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고 내다봤지만 ,기지이전에 따라 범죄증가, 주민피해, 개발제한 등 혹시 모를 베드타운화를 가장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당지지층별 미군철수와 기지이전에 따른 안보위협에 대해 큰 시각차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선 ‘안보 위협이 우려된다’고 답한 경우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각각 42.7%와 39.0%로 비교적 낮게 나왔지만 상대적으로 보수정당인 자민련 지지층의 79.3%가 안보위협에 긍정적인 대답을 했다.
반면 ‘부정적 영향 없다’는 응답은 열린우리당 55.8%, 한나라당 31.4%, 민주노동당 59.6%, 39.0%, 자민련 20.6%로 나타나 미군 철수와 한강 이남으로의 이전에 대해 자민련과 한나라당 지지층에서 부정적 시각을 가장 높이 표출했다.
이밖에 ‘안보 위협 없다’는 응답자 가운데 남성 54.9%가 긍정적으로 평가한데 이어 30대 58.9%로 나타났다.
그러나 53.3%의 대다수 여성, 특히 20대 58.0%, 한나라당 지지층 66.2%가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답해 남성들이 생각하고 있는 국가 안보관이 상당부분 엇갈린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