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특별법 시행에 따라 도내 19개 대상지역의 기업체의 90%가 지방이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도와 일선 지자체에 따르면 정부의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시행에 따른 지방이전 대상기업 670개 중 90%에 해당하는 600여개 업체가 이전을 전혀 고려치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인 이상 대상기업 240개가 소재한 안산시가 자체 조사한 결과 220여개 기업이 이전을 희망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나머지 20여개 기업은 4년 뒤에나 이전을 고려하고 있어 인력확보, 비용발생, 유통에서 과다지출로 인한 도산을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H사 측은 “경기침체로 공장가동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이전을 전혀 고려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만약 옮긴다면 4년 뒤나 모기업이 옮길 경우 고려해 보겠다”고 밝혔다.
또 여론수렴 중인 화성시 역시 90여개 기업 중 한 두 기업을 제외하고는 지방이전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부천시도 60여개 기업 중 40여개, 시흥시 50개중 40여개, 안양시 20여개 등 대부분의 기업들이 인력수급이나 비용문제에 부담을 느껴 지방이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편 안산 부천 김포 화성 지자체장은 8일 산자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40여만명이 서명한 ‘반대서명부’를 전달하고 기업이전의 부당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산자부 측은 이미 법령 시행에 따라 정부정책이 확정됐기 때문에 해당 지자체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도는 정부에서 기업 지방이전 촉진을 위해 이전부지에 대한 용도변경을 추진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절대 불가방침을 고수, 정부와의 마찰이 예상된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지방이전 기업 당 10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지만 결국 부담을 떠안는 꼴이 되는 것”이라며 “이전보다는 기업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