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독자적인 교통행정을 포기했다’
도가 대중교통체계 개선과 관련 결국 독자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서울시 통합요금거리비례제를 그대로 도입해 주민부담만 가중시키게 됐다.
특히 도는 다음달부터 버스요금을 서울시보다 높은 평균 30% 가량 인상해 정치적 공조는 쉽게 하는 반면 주민들에게 민감한 대중교통요금 등에 대해서는 서울시에 끌려가는 교통행정을 펴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8일 도에 따르면 도는 다음달부터 서울로 진입하는 1천600대의 도시형버스에 대해 이동거리 비율로 요금이 추가되는 ‘통합요금 거리비례제’를 그대로 도입키로 하고 버스 유형별로 평균 30%가량 요금을 인상키로 최종 확정, 발표했다.
그러나 도는 특수성을 고려한 독자적 요금체계를 마련하지 못한 채 서울시 안을 그대로 도입하고 요금인상까지 대폭 추진, 주민을 무시한 교통행정을 펼쳐왔다는 지적이다.
실제 통합거리비례제를 적용할 경우 서울로 진입하는 도내 버스 요금은 기본거리(10㎞) 이내에서는 기본요금, 이후 30㎞까지는 5㎞마다 100원, 30㎞를 초과한 거리에서는 10㎞마다 100원이 각각 추가된다.
도시형버스 기본요금이 850원으로 결정됐을 경우 도내 버스로 40㎞를 이동, 서울에 진입할 경우 승객은 기본요금 850원에 추가요금 500원 등 모두 1천350원을 부담하게 된다.
또 한국기업연구원이 제시한 요금인상방안에 따르면 시내지역 도시형버스 기본요금을 현행 700원에서 850원으로 21.4%(150원), 좌석버스는 1천300원에서 1천600원으로 23.1%(300원), 직행좌석버스는 1천500원에서 1천700원으로 13.3%(200원), 농어촌지역의 도시형버스는 700원에서 1천200원으로 71.4%(500원) 인상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 밖에 서울시는 버스업체의 만성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준공영제를 도입했지만 도는 방안 조차 도출하지 못한 상태다.
또 도가 도입할 독자적인 신교통카드시스템이 서울시 버스와 호환되지 않을 경우 상당기간 주민들의 교통 불편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결국 도는 정치적인 현안에 대해서는 서울시와 공조체제를 갖추면서도 주민들을 위한 요금체계 개선에는 손을 놓았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이에 대해 도는 수원에서 사당을 거쳐 광화문까지 버스, 지하철, 마을버스 등 3가지 교통수단을 이용할 경우 현재 균일요금보다 저렴하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도의 경우 지역적 특수성으로 서울로 진입하는 유동인구가 많아 독자적인 안을 마련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하지만 실제 60㎞까지는 현재 균일요금제보다 오히려 저렴하기 때문에 주민부담 가중은 기우에 불과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