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빈혈을 가지고 있으면 치매와 같은 인지 기능 저하가 생길 위험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인 특히 노인의 경우 빈혈의 범주 안에 들어가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 같은 내용은 한양대학교 명지병원 가정의학과의 김홍배 교수 연구팀과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심재용 교수 연구팀이 1997~2017년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총 16편의 관찰 역학 연구를 종합 분석하여 빈혈과 인지 기능 저하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다.
이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빈혈이 있는 사람은 해당 질환이 없는 사람보다 인지 장애, 치매의 위험성이 각각 51%, 59% 높아졌다.
특히 빈혈은 알츠하이머병 발생과 관련해 91%의 증가 위험성을 보였다.
연구 제1저자인 명지병원 김홍배(사진) 교수는 “그동안 빈혈에 걸리면 치매와 같은 인지 기능 저하의 위험성이 높다는 개별 관찰 연구들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개별 연구를 종합한 첫 연구로 빈혈은 경도 인지 장애뿐만 아니라 치매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빈혈은 인지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염증이나 심장 질환, 신장 질환 같은 건강 악화 상태와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올해 12월 SCI급 국제 학술지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편, 2013년 161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약 19억명, 전세계 인구의 27%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빈혈에 시달리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빈혈 유병률 또한 2016년 조사에서 그 수치가 11.6%에 이르고 있다.
/고양=고중오기자 g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