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각급 학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마스크를 비롯한 방역물품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경기도교육청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26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방역물자는 학교에만 맡겨놓지 않고 교육청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우선적으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 당국은 83억원을 투입해 도내 학교에 방역물품 비용을 지급했지만 마스크 물량 부족으로 도내 학교 4곳 중 1곳꼴로 마스크 보유분이 미달하는 등 상당수 학교가 물품 구매에 어려움을 호소하자 도교육청이 방역 물품 확보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평소 개학하기 전인 2월 중에 모두 확보해놓아야 하는데 최근 물량 부족으로 미처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방역물품은 ▲체온계 ▲의료용 장갑 ▲마스크(방역용·일반용) ▲알코올 손 소독제 ▲세제 및 살균 티슈 등으로, 방역용 마스크(N95·KF94, 미세입자를 95%까지 걸러낼 수 있는 마스크)와 의료용 장갑, 손 소독제, 세제는 우선 비축 물품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관계 당국과 협의해 마스크를 대량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 중”이라며 “교육 현장 혼란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코로나19는 우리가 충분히 이겨날 수 있다”며 “개학하는 대로 건강을 지키기 위한 프로젝트 수업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과 이웃과 학교를 지켜나갈 수 있는 길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25일 경기도가 신천지예수교회 부속기관을 강제 역학조사한 것에 대해 “강력한 조치에 환호한다. 너무 잘했다. 우리 학생들이 지사님을 믿고 안심하게 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이날 ‘코로나19 관련 대구 경북 지역 방문자 자율 보호’라는 긴급 공문을 교육지원청 및 직속 기관, 각급 학교에 보내 ‘대구 경북지역을 방문한 교직원은 해당지역에서 복귀한 마지막날로부터 14일간 자율 보호하라’고 지시했다.
자율 보호란 보건당국의 자가격리 대상은 아니지만,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자율적 격리가 필요한 자들에 대한 교육 당국의 조치로, 대상자들은 모두 ‘공가’ 처리된다.
도교육청이 이날까지 파악한 대구 경북지역 방문자는 남·북부청 및 30개 직속 기관 42명이며, 도내 25개 교육지원청과 학교 교직원 수는 집계 중이다.
이번 자율 보호는 학생에게도 적용돼 역시 대구 경북지역에서 복귀한 뒤 2주간은 등교할 수 없고, 대신 ‘출석인정 등교중지’ 처리된다.
아울러 어린이집이 다음달 8일까지 휴원하고 유치원 및 초·중·고교 개학이 같은 달 9일로 연기됨에 따라 만 10세 이하 자녀를 뒀거나 임산부, 기저질환자 등 면역력이 취약한 직원에 대해선 ‘재택근무’를 적극 활용하도록 했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