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초등학생이 작년 쓴 사교육비가 총 9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원 늘었다. 증가율은 11.8%로 정부가 사교육비를 조사하기 시작한 2007년 이후 가장 높았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10일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사교육을 받은 학생의 비율을 의미하는 ‘사교육 참여율’은 74.8%로 직전년인 2018년보다 1.9%포인트 올랐다.
초등생 사교육 참여율은 83.5%(0.9%포인트 상승), 중학생은 71.4%(1.7%포인트 상승), 고등학생은 61.0%(2.4%포인트 상승)였다.
작년 초중고생 사교육비 총액은 전년 19조4천852억원보다 7.8% 증가한 20조9천970억원이었다. 이는 2009년 21조6천억원을 기록한 뒤 10년간 최대액으로 2016년부터 매년 전년 대비 사교육비가 늘어난 결과다.
초등생 사교육비 총액은 지난해 9조5천597억원으로 전년 8조5천531억원보다 1조66억원(11.8%) 증가했다.
교육부는 ‘취미와 교양을 위한 예체능 사교육’과 ‘돌봄을 위한 사교육’ 수요가 꾸준했던 점이 초등생 사교육비를 증가시킨 요인이라고 밝혔다.
또 ‘띠가 좋다’는 속설에 따라 출생이 많았던 2012년에 태어난 아이들이 작년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초등생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학생과 고교생 사교육비 총액은 각각 5조2천554억원과 6조1천819억원으로 전년(4조9천972억원과 6조1천819억원) 대비 5.2%와 4.2% 늘었다.
지난해 초중고생 사교육비에서 국어·영어·수학 등 ‘교과’ 사교육은 15조4천52억원을 차지했고 음악과 미술 등 ‘예체능과 기타’ 사교육은 5조4천274억원이었다.
교과 사교육 중 컴퓨터 과목을 포함한 ‘제2외국어 등’ 항목 사교육비가 3천715억원으로 전년보다 34.4% 늘어나 주목된다.
초·중에서 소프트웨어교육이 필수가 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영어 사교육비는 6조1천381억원, 수학은 5조8천915억원, 국어는 1조5천13억원 등으로 전년보다 각각 8.2%, 6.2, 8.4% 증가했다. ‘입시 컨설팅’ 등 ‘진로·진학 학습상담’ 사교육비는 작년 734억원이었다.
초중고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지난해 32만1천원으로 전년 29만1천원보다 10.4% 늘었다. 7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30만원을 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역대 최고였다.
학교급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초등생 29만원, 중학생 33만8천원, 고교생 36만5천원으로 각각 전년과 비교해 10.3%, 8.4%, 13.6% 올랐다.
지난해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는 학부모 8만명과 3천2개교 3천108개 학급 담임교사와 방과 후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주철기자 jc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