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7기 경기도의 교통정책 핵심 공약인 ‘경기교통공사’ 설립안이 ‘경기도 공기업 설립 심의위원회’를 통과하면서 행정절차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었다.
경기도는 지난 8일 열린 심의위원회에서 자본금 총 185억원을 도가 전액 출자하는 방식으로 경기교통공사 설립안이 통과됐다고 9일 밝혔다.
도는 향후 조례 제정, 정관 마련, 임원 공모·임명, 설립 등기 등의 절차를 완료해 올 하반기 내 공사를 출범한다는 구상이다.
지방공사 형태로 설립되는 교통공사는 1본부 5부서(경영지원부, 버스운영센터, 준공영운영부, 교통시설부, 철도운영부) 체계를 갖추고 버스 운전원을 포함해 88명의 인력으로 출범된다.
도시, 도농복합 등 지역별 특성이 매우 다양한 도내 시군의 대중교통 체계를 통합·광역적으로 관리하는 교통전담 기구로 역할하게 되며, ▲수요맞춤형 버스 운영 ▲노선입찰방식 경기도 공공버스제 운영 ▲철도 운영관리 ▲환승시설 구축운영 등 4대 전략을 추진하게 된다.
도는 교통공사 설립을 통해 각종 교통 신사업 개발·운영으로 향후 5년간 생산유발효과 1천323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516억 원, 고용창출효과 1천47명에 이르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경기교통공사는 민선7기 교통정책 목표인 ‘대중교통이 자가용보다 더 편한 경기’ 실현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광역교통난 해결 등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정책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박한솔기자 hs6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