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15개 시·군이 코로나19 감염 경로를 조사하는 역학조사관을 지난달 초까지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고양시·화성시·평택시·시흥시·파주시·김포시·군포시·하남시·구리시·포천시·동두천시·가평군·과천시·연천군 등이다.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기대(더불어민주당·광명을)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경기도 31개 시·군 역학조사관 현황 및 교육훈련 이수 기간’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내 31개 시·군에 역학조사관이 총 28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분석 결과 안양시·의정부시·의왕시·양주시 등에 각각 2명, 성남시·안산시·오산시·이천시·안성시·양평군·여주시·광명시 등에 각각 1명의 역학조사관이 각각 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용인시·부천시·남양주시·광주시 등 4개 시·군에선 역학조사관 3명을 각각 채용했다.
채용한 역학조사관 중 보건 전문가는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고, 교육훈련을 1년 이상 받은 경우도 없었다.
역학조사관은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 나가 감염병 여부를 확인하고 경로를 조사한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구 10만명 이상인 도내 27개 지역에는 1명 이상의 역학조사관을 배치해야 한지만, 수원시 등 15개 시·군은 역학조사관을 한 명도 채용하지 못했다.
인구 10만명이 안 되는 4개 시·군의 경우 역학조사관을 두지 않아도 되지만 코로나19 확진자는 역학조사관을 두지 않은 동두천시(18명), 가평군(45명), 과천시(24명), 연천군(16명) 등에서도 나왔다.
양기대 의원은 “코로나 19가 장기화하는 국면에서 역학조사관이 턱없이 부족해 역학조사관들과 역학조사 업무를 맡은 공무원들이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며 “역학조사관 임무가 막중한 만큼 채용기준 완화, 처우 개선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