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26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국정조사 언급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윤 총장과 관련한 사실관계를 파헤치다 보면 자연스럽게 추미애 장관도 함께 겨낭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일종의 ‘되치기 전략’인 셈인 것이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초유의 검찰총장 직무 정지 사유가 너무나 궁색하다는 지적이 많다. 기초 사실관계조차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흔적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검찰총장 직무정지 사유와 함께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과 검찰권 남용 및 과잉인사권 행사에도 문제가 없는지 포괄적인 국정조사가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이날 회의에서 "추미애 장관에 대한 국정조사도 피해갈 수 없다. 함께 요구한다"며 이낙연 대표의 윤 총장 국정조사 요구를 적극 수용하겠다고 했다.
아예 추 장관을 국정조사에서 빼도 문제가 없다는 주장도 나왔다.
3선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어차피 추 장관이 주장한 윤 총장 직무 배제 이유들은 근거가 없기 때문에 윤 총장이 국정조사에 나와도 불리할 것이 없다"며 "오히려 윤 총장의 정당성과 추 장관의 문제점을 폭로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추 장관은 국정조사에서 빼는 게 더 좋을 수도 있다. 이분의 특기가 억지 써서 시끄럽고 짜증 나게 하는 것"이라며 "이미 국민들은 이력이 나 있다"고 말했다.
4선의 김기현 의원 역시 "윤 총장이 하자가 많은 총장이었는지, 임기가 보장된 총장을 청와대와 집권 여당이 이렇게까지 망신을 주면서 쫓아내려고 할 정도의 비위가 많은 인물이었는지, 애초 청와대는 이런 인물을 왜 검찰총장에 임명하려고 그 난리를 피웠는지, 국민 앞에서 상세하게 다 밝히자"라며 "국정조사 과정에서 진실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밝혀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윤 총장에 대한 ‘국정조사’ 카드를 먼저 꺼내 든 민주당은 법무부 징계위 절차를 지켜 본 다음에 논의하자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김종민 민주당 최고위원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국조를 하겠다고 판단한 것이 아니고,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하기 위해 국조나 특별수사로 진상을 규명하자고 말한 것"이라며 "징계위 절차 이후 어떤 절차를 밟을지는 그때 논의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