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장기미집행시설 590만㎡에 대해 본격 매입을 추진해 장기민원이 다소 해결될 전망이다.
특히 10곳의 밀집지역의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연내 마무리되고 시.군 상황에 맞는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이 수립, 자립기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26일 도에 따르면 도내 하천편입과 도로건설로 인해 수용됐지만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매수 처리되지 못한 미집행시설 590만㎡에 대해 본격적인 해소에 들어간다.
전체 미집행시설의 매수비용은 1조9천억원에 이르며, 특히 10년 이상 장기미집행시설은 370만㎡로 대지매수에 1조2천억원이 소요된다.
도는 올해부터 총 5천억원을 들여 미집행시설 190만㎡에 대해 매수에 들어가는 한편 이 중 10년 이상 장기미집행시설(150만㎡)에 대해서는 우선 매수에 들어가 오랫동안 겪어왔던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시킬 방침이다.
도는 동두천과 양주를 비롯해 6곳의 택지개발을 위해 교통개선대책을 수립한 후 단지조성에 들어간다.
도는 상반기에 동두천 송내지구(69만2천㎡)와 양주 고읍지구(150만㎡)에 대해 택지개발사업 준공 및 승인을 완료했다.
이어 연내 파주 운정2(438만5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파주 운정1, 남양주 진접, 양주 고읍 등 3개소 826만1천㎡의 실시계획을 수립, 연내 착공에 들어간다.
도는 의정부 안말지구와 동두천 소요, 생연1과 생연 2-2?2-3?4-1, 동안1?2, 상패1?2, 광암 등 10곳에 대해 도시계획도로를 건설하고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등 주거환경개선을 추진한다.
소요, 생연1, 생연2-2, 동안1, 동안2는 올 연말까지 주거환경 개선을 완료하고 안말, 생연4-1, 생연2-3, 상패1, 상패2, 광암은 용지보상을 마무리 짓고 내년부터 공사에 들어간다.
이 밖에 양주와 구리시가 실정에 맞는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한 가운데 올해까지 포천, 기평, 연천, 의정부, 고양, 남양주, 파주, 동두천 등 북부낙후지역의 도시기본계획이 수립된다.
도 관계자는 “장기미집행 시설 조기해소를 통해 주민불편을 최소화하고 ‘선계획 후개발’ 원칙에 따라 무분별한 난개발을 막겠다”며 “올해까지 사업을 최대한 마무리해 공간구조 개편을 통해 자립도를 높일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