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정부에 "고용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비상한 대책을 시급하게 강구해주길 바란다"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청와대 여민관에서 제7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정부는 1월의 고용충격을 딛고 2월을 변곡점으로 하여 빠르게 고용회복의 길로 들어설 수 있도록 범부처적인 총력체계로 대응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어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 통계에 의하면 지난달 취업자 감소 폭이 100만명에 육박하고 실업자 수도 150만명을 넘어서는 등 고용상황이 매우 심각하다"며 "코로나 확산과 방역 조치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지만 민생 측면에서 매우 아픈 일"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더욱 아프게 느껴지는 것은 업종별, 계층별 양극화가 심화된 것"이라며 "수출 호조로 제조업의 일자리 감소 폭은 축소된 반면 음식숙박업, 도소매업 등 대면서비스 업종은 감소폭이 크게 확대됐고 상용직은 소폭 늘어난 반면 임시직과 일용직이 일자리 감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수출 호조 등 국가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고용회복에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공공부문과 재정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로 당장의 고용한파를 이겨나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1분기까지 90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민간의 고용유지 전방위적 지원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피해지원과 어려운 계층의 취업기회 대폭 확대 ▲고용안전망 확충과 직업훈련 고도화 등 네 가지 대책을 제시했다.
[ 경기신문 = 유진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