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부터 고용허가제가 시행됨에 따라 불법체류로 단속되는 외국인노동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전국 최대 수용규모인 화성외국인보호소의 인력과 예산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000년 11월 개소한 화성외국인보호소는 현재 53명의 직원이 2개 보호동 31개 보호실에 수용된 425명의 불법체류 외국인노동자를 관리하고 있다.
여수(90명)와 청주(240명·10월 개소 예정) 등 나머지 2개 보호소와 10명 안팎을 수용하는 전국의 14개 출입국관리소에 비해 월등한 규모다.
올들어 지난 7월까지 화성외국인보호소에 수용됐다가 강제출국된 외국인은 5만5천여명으로 2002년과 지난해 각각 4만여명과 4만3천여명의 한해 전체 수용인원을 벌써 웃돌았다.
이같은 사정으로 화성외국인보호소는 지난 5월 8일 300명 수용 규모의 보호동 1개동을 증축했지만 인력 부족으로 3개월여간 시설을 놀리고 있다.
증축과 관련 80명의 정원 증원을 요청, 행정자치부에서 39명의 증원을 약속했으나 기획예산처와의 협의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산부족으로 월 급여 65만원에 용역경비원을 채용, 평균 연령 53세의 지역민이 보호소 경비를 서고 있는 것도 문제다.
작년 9월과 지난 5월 각각 11명과 23명이 집단탈주했지만 전문 경비인력 부족으로 도주에 사실상 무방비였다.
또 외국인노동자들의 한끼 식사비가 학교급식비의 절반에 못미치는 1천200원으로 책정, 다양한 식단을 꾸리지 못해 수용자들의 불만도 속출하고 있다.
화성외국인보호소 관계자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해 외국인노동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고 체불임금 해결 등 고충처리에도 어려움이 있다"며 "전국 최대 규모에 걸맞는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