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6일 “무리하고 성급한 탈원전 정책은 반드시 재고되고 바꿔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직격했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탈원전 반대 2030 의견청취’ 간담회에서 “전문가들도 말하지만 원자력에너지란 것은 우리가 영화에서 보는 것처럼 그렇게 위험천만한 것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정책은 산업경쟁력과 국민 삶에 깊은 영향을 주는 중대한 문제"라며 "장기간 전문적 검토, 국민적 합의를 거쳐 진행돼야 하지만, 너무 갑작스럽게 (탈원전 정책 결정이) 이루어진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원자력 에너지라는 게 영화에서 보는 것처럼 그렇게 위험천만한 것이 아니다"라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도 일본의 지반과 관련한 문제이지 원전 자체 문제는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윤 전 총장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한 현장 간담회로, 한국과학기술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면서 한국원자력연구원 노조 대외협력부장을 맡고 있는 김지희씨를 비롯해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박사과정 조재완씨, 원자력공학과 석사과정 구현우씨가 참석했다.
윤 전 총장은 탈원전 정책 때문에 앞길이 막힌 전공생들의 상황을 거론하면서 "원전 기술과 산업 생태계가 한번 망가지면 다시 회복할 수 없는 중차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 정책이 바뀌길 기대하면서 나라를 위하는 마음으로 계속 공부하는 것으로 안다"며 "정말 감사하고 감사한 마음"이라고 위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윤 전 총장의 몰이해에서 비롯된 후진 프레임이라며 비판했다.
한준호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윤 전 총장의 첫 행보가 월성1호기 수사 외압을 주장하고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는 것으로 시작됐다”며 “이 행보야말로 수사를 편파·과응으로 했음을 부각하는 소위 적반하장 행보가 됐다”고 말했다.
한 대변인은 “감사원 감사의 핵심은 산업부 공무원들이 444건의 문건을 삭제했다는 것이지만, 삭제 문건의 상당수는 박근혜 정부에서 작성한 원전 추진 자료가 대부분”이라며 “그런데도 당시 검찰은 공소장에 공무원들이 감사 방해 목적으로 월성1호기 조기폐쇄 및 가동중단 관련 파일을 삭제했다고 기재하지 않았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 총장의 ‘정부 졸속 탈원전 정책’ 비판은 그저 자신의 몰이해에서 비롯된 후진 프레임”이라고 비판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