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병훈 국회의원(더민주·광주갑)이 “청년임대주택을 외곽에 지으면 장기 공가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LH가 도심 내 청년임대주택 공급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 의원이 LH가 제출한 행복주택 공가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LH가 서울에 공급한 행복주택 1392세대 가운데 6개월 이상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장기 공실률은 0.4%에 불과한 반면 LH가 경기도에 공급한 행복주택 3만 8154세대의 장기 공실률은 5.6%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LH가 서울·수도권에 건설한 행복주택 가운데 6개월 이상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장기 공실률이 가장 높은 단지는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에 건설된 파주법원 행복주택이었다. 파주법원 행복주택은 전체 250세대 중 78세대가 6개월 이상 공실로 방치되어 공실률이 31.2%에 달했다.
2위로는 인천 남동구 서창동에 건설된 인천서창 15BL 행복주택(20.2%), 3위는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에 건설된 양주옥정 A3 행복주택(18%) 순이었다.
소 의원은 “‘우리 동네에는 청년임대주택을 짓지 말고, 부지를 매각해서 번 돈으로 외곽 지역에 임대주택을 공급하라’고 하는 것은 ‘집 없는 청년들은 도심 내에서 살지 말고, 외곽으로 나가서 살라’고 말하는 셈”이라며 “LH가 이러한 요구를 한 번 수용하게 되면, 더 이상 도심 내에서 임대주택을 건설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박환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