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와 참교육학부모회 등 경기도내 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이 수원, 파주, 평택 등지에서 교육개방이 이뤄져 평준화를 해체하고 있다며 이에대한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17일 전교조 경기지부 등에 따르면 현재 경기도는 경제특구 지정 추진, 국제도시 건설을 위한 평택.동두천 특별법 추진, 수원외국인학교 설리비 지원 및 영어마을 등을 설치하는 등 경기교육 발전에 대한 정책을 수립.집행하고 있다.
그러나 전교조 경기지부, 참교육학부모회, 경기민주학부모회, 수원인간실현학부모연대, 평택참여자치시민연대 등 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은 도의 이러한 시도가 공교육을 오히려 약화시키고 있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외국교육기관으로 경기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교육개방은 민족의 정체성과 교육을 죽이는 길이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민단체들은 "교사 1인당 학생수가 26.12명(2003년기준)으로 서울의 23.41명보다 2.61명이 더 높고 매년 70여개의 학교를 신설해도 경기도의 교육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라며 "공교육의 현실이 이렇게 열악한데도 도는 이를 개선하기는 커녕 영어마을, 특목고 지원 등 전시성, 업적 위주의 사업만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경기도 170만명의 학생들의 교육환경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이때 외국인학교에 막대한 지원으로 외국인 자녀 교육문제에만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이는 산업연수생 등으로 들어온 많은 이주노동자 자녀의 교육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과 비교해 볼때 특혜라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따라 도내 교육시민단체들은 외국교육기관 특별법 제정 저지와 교육상품화 저지를 위해 ▲교육개방 등 경기교육현안에 대한 공청회 실시 ▲일방적인 특구 신청 자제 ▲공동대책기구 구성 등을 촉구했다.
전교조 경기지부 관계자는 "교육개방으로 인한 폐해를 막기 위해 시민단체들이 나선 것"이라며 "도교육청은 경기교육 문제해결의 주체로 교육현안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