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 전쟁 직후부터 50여 년간 민통선 내 주둔한 미군 반환 공여지 ‘캠프그리브스’의 소유권이 경기도로 이전됨에 따라 도내 역사 공원 조성 사업이 한층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경기도는 6일 국방부와 ‘캠프그리브스 기부 대 양여 사업’의 최종합의각서를 지난 4일 자로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국방부 소유의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인 캠프 그리브스를 도에 양여하는 대신 이에 상응하는 군 대체 시설을 도가 국방부에 기부 채납하는 방식이다.
지난 2012년 10월 도와 국방부 간 캠프그리브스 활용 양해각서를 체결한 지 10년여 만에 캠프그리브스를 역사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지난해 6월 도와 국방부는 군 대체 시설 준공 이후 추진한 ‘기부 및 양여 재산의 감정평가’ 결과를 기존 합의각서 상 금액에 반영, 기부 대 양여 재산 규모를 이번 최종합의각서 체결을 통해 확정했다.
이에 따라 도는 막사, 초소, 정비고, 훈련시설 등을 갖춘 25만2637㎡ 규모의 군 대체 시설을 국방부에 제공하고 국방부로부터 11만8935㎡ 규모의 캠프그리브스 부지를 넘겨받았다.
도는 올해 상반기 중 관련 절차를 마무리한 뒤 해당 부지를 분단의 아픔을 되새기고 평화와 공존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하는 공간으로 만드는 역사공원 조성 사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이달 중 국방부에 대체 시설 기부를 건의하고 7월 이전까지 소유권 이전을 마칠 방침이다.
이어 올 하반기부터 화장실, 음식점 등 편의시설과 상하수도 등 기반 시설에 대한 공사를 우선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 중 공식 개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캠프그리브스 일원 임진각 관광지, 마정중대, 장산소초, 임진소초, 도라산평화공원 등 관광자원에 대한 개발 여건 분석, 시설 간 연계성 등을 토대로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는 연구용역을 올 12월까지 추진한다.
신준영 평화협력국장은 “2023년 정전 70주년과 더불어 장기간 도 차원에서 캠프그리브스 소유권 이전을 위해 노력해온 만큼 더 의미가 크다”며 “이른 시일 내에 역사공원을 조성해 도민들 품에 돌려드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파주시 군내면 디엠지(DMZ) 일원에 자리 잡은 캠프그리브스는 본래 주한미군이 6·25 전쟁 직후인 1953년 7월부터 2004년 이라크로 파병되기까지 약 50여 년간 주둔했던 민통선 내 유일 미군 반환 공여지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