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대체 부지를 찾기 위한 실무협의가 정례화 되면서 사회적 합의 방안이 어떻게 마련될지 주목된다.
19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김동연 경기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은 지난 17일 서울 노들섬에서 열린 3차 수도권협의체에서 수도권 대체 매립지 조성 논의를 본격화했다.
이들은 30년 넘게 사용되며 종료를 앞두고 있는 수도권매립지에 대한 대체 부지 확보를 위해 국장급 회의를 정례화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협의체 회의에는 한화진 환경부장관도 참석했다. 수도권협의체 회의에 한 장관이 참석하면서 그동안 중단됐던 수도권매립지 4자 협의체가 다시 가동됐다는 긍정적 평가도 나왔다.
4자 실무협의가 정례화 되면 대체 부지 확보와 사회적 합의방안 확보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재활용 정책 확대, 소각시설 확충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쓰레기 매립량을 줄여 수도권매립지 환경 문제 해결을 합의하기도 했다. 환경부는 행정·재정 지원을 약속했다.
지난 2015년 경기·인천·서울·환경부는 4자 협의체 합의를 통해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까지 후속 대체 매립지를 구하고, 이를 실현하지 못하면 잔여 부지를 추가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 2021년 1~7월 두 차례에 걸쳐 대체 매립지 공모를 진행했으나 지원한 지자체가 없어 대체 매립지 선정은 물거품이 됐다.
총 3조 원 규모의 인센티브 제공도 무용지물되면서 수도권매립지 4자 협의체 운영도 자연스레 중단됐고, 수도권매립지 대체 부지 확보 논의도 흐지부지됐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그동안 중단됐던 4자 협의체가 다시 가동됐다는 점은 매우 의미있는 진척”이라며 “조속한 4자 합의 이행은 물론 수도권매립지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역시 “환경부장관과 합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쾌적한 수도권 환경을 위해 경기도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조경욱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