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노조가 故 최명욱 대학노동조합 용인대학교 지부장의 죽음과 관련해 용인대에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요청했다.
1995년부터 용인대 교직원으로 근무한 故 최명욱 지부장은 명예퇴직을 20여 일 남긴 지난 13일 자택에서 숨을 거둔 채 발견됐다.
이후 최 지부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그의 죽음에 대해 여러 의혹이 불거졌다.
지난 25일 '故 최명욱 지부장의 진상조사 및 명예 회복을 위한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용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용인대에 최 지부장 죽음과 관련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책위는 대학노동조합 경인강원지역본부, 대학노동조합 용인대학교지부, 한국사립대학교수노조 용인대학교지회, 용인대학교 민주동문회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대책위는 용인대가 노조를 탄압하기 위해 학교 측 관계자가 최 부장에게 명예훼손, 직장 내 괴롭힘 등으로 고소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지난해 2학기 학교 고위직의 임용과정에서 음주 사고 공익제보가 있던 당시, 그 제보자로 고인을 지목해 명예훼손으로 소송을 벌였다"며 "명예퇴직 1개월 전에도 학교 측 관계자는 고인을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로 지목해 노조 간부들과 함께 고소를 한 바 있다. 용인대는 고인의 죽음과 관련한 조사를 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날 유족 측 대표로 참석한 고인의 동생인 최명호 씨는 "명예퇴직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왜 형님께선 그런 극단적인 선택을 해야만 했는지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리라 생각한다"며 "형님의 죽음을 최소한의 진상조사 없이 상중에 합의서 한 장으로 급히 마무리하려고 한 용인대학교 학교 측 관계자들에는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 가족들이 바라는 건 단 하나, 형님을 죽음으로 내몬 관계자들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진상규명"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용인대 측은 대책위가 제기한 의혹은 모두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용인대는 입장문을 통해 “최근 몇 년간 학내에서 구성원들 간의 갈등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그 과정에서 학교 측은 특정인을 사주, 조장하거나 갈등 상황에 개입한 바가 전혀 없다는 사실을 밝힌다”며 “합의서는 유족의 슬픔을 이해하고, 유족 측이 요청한 대로 퇴직, 예우를 지원하고자 작성이 되었다”고 그간의 의혹을 일축했다.
[ 경기신문 =최정용·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