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세수 불황에 나라 살림 68조 적자...나라 빚은 1100조 육박

기획재정부, 월간 재정동향…세수 43조 '펑크'


올 7월 기준으로 국가 채무가 1098조 8000억 원까지 늘어났다.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68조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경기 하강으로 세금이 예상보다 덜 걷히면서 당초 정부가 예상한 올해 적자 전망치(58조 2000억 원)보다 적자폭이 10조 원가량 불어났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9월호’에 따르면 올해 1~7월 관리재정수지는 67조 9000억 원 적자로 집계됐다. 이 기간 정부 총지출은 391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조 1000억 원 감소했다. 코로나19 대응 사업과 소상공인 손실 보상이 종료되면서 지출이 감소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정부 총수입도 353조 4000억 원에 그쳐 전년 동기보다 40조 7000억 원 줄었다. 국세 수입이 217조 6000억 원으로 43조 4000억 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월 말 기준 37조 9000억 원 적자였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장성 기금 수지를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67조 9000억 원 적자였다. 한 달 전보다 적자 규모가 15조 원 감소했다. 다만 여전히 정부가 예상한 올해 연간 적자 전망치(58조 2000억 원)를 웃돌았다.

 

7월 말 기준 국가채무(중앙정부 채무)는 전월보다 14조 5000억 원 증가한 1097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대비 64조 4000억 원 늘어나며 정부의 올해 연간 전망치(1101조 7000억 원)에 근접했다. 정부는 향후 국고채 상환 일정 등을 고려했을 때 올 연말 중앙정부 채무가 전망치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8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4조 9000억 원으로 국제유가 상승,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에 따른 글로벌 금리 상승에 동조해 상승했다. 8월 외국인 국고채 순투자 규모는 40조 원으로 5개월 연속 유입했다. 외국인 국고채 보유 잔액은 8월 말 기준 214조 9000억 원을 기록했다.
 

[ 경기신문 = 백성요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