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내수회복 내년 상반기까지 어려울듯

소비심리 외환위기때 보다 더 악화

장기불황으로 소비심리가 외환위기 당시보다 더 악화되고 있어 경기회복의 관건인 내수회복이 내년 상반기까지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소비를 주도해야 할 고소득층의 소비심리가 사상 최악으로 추락하면서 당분간 경기가 되살아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6개월후의 경기, 생활형편, 소비지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 기대지수는 86. 6으로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0년 12월 기록한 82.2 이후 4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이며 외환위기 직후인 98년 12월의 86.7보다도 더 낮은 것이다.
소비자 기대지수가 100을 웃돌면 6개월 후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나아질 것으로 보는 가구가 나빠질 것으로 보는 가구보다 많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가리킨다.
11월 지수를 항목별로 보면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가 75.5로 역시 지난 2000년 12월의 64.3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이는 환란 직후인 98년 12월의 102.7에 비해 무려 27.2포인트나 낮았다.
또 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도 91.1로 4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소비지출, 내구재 소비, 외식.오락에 대한 기대지수도 일제히 하락세를 면치못해 경기회복 기대감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됐다.
특히 소득계층별로는 그나마 올들어 90선을 꾸준하게 웃돌았던 월소득 4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의 기대지수가 88.7로 전달보다 2.7포인트나 추락하며 해당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 생활 형편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 평가지수도 지난달 62.8로 한달만에 하락세로 돌아서 체감경기가 계속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6개월전과 비교해 현재의 자산가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평가를 보여 주는 자산가치 평가지수도 주택.상가(90.3), 토지.임야(94.5), 금융저축(87.2), 주식.채권(82.2) 등 분야를 막론하고 무차별적으로 하락했다.
또 6개월전에 비해 저축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가구의 구성비가 12.8%로 전달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한 반면 부채가 증가했다고 밝힌 가구는 27.9%로 전달보다 1.2 %포인트나 늘어나 소비지출 여력조차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