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업체 밀어주기’ 의혹(경기신문 5월 26일자 1면 보도)이 일고 있는 ‘인천시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구축 사업’의 최대 수혜자는 인천시로부터 대행 위탁을 받은 인천스마트시티㈜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시가 국비 보조금 38억 원을 받아 진행하고 있다.
시는 38억 원의 10%에 달하는 3억 7800만 원을 인천스마트시티㈜에 대행수수료로 지급했다.
이에 앞서 실시설계 용역도 인천스마트시티㈜가 외주 업체에 맡겨 진행했다. 용역비는 5000만 원이다.
여기에 일반수용비 1900만 원, 사업추진비 70만 원, 감리비 1억 원 등을 빼면 실제 ‘인천시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구축’에 투입하는 돈은 27억 원이 채 되지 않는다.
11억 원에 가까운 돈이 부대비용이다.
시가 직접 사업을 진행했다면 대부분 줄일 수 있었던 돈이다.
이 사업은 대규모 피해가 예상되는 전통시장 전기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난 상황으로 인식해 예방 뿐 아니라 화재 발생시 신속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뼈대다.
당초 시는 재난 예방·관리시스템 구축이 취지(경기신문 1월 9일 1면 보도)라고 밝힌 바 있다.
센서를 통해 과부하나 누전 등의 이상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점포 주인과 지자체 재난상황실, 인근 소방서에 통보돼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설명이었다.
하지만 문제가 되고 있는 인천스마트시티㈜의 제안요청서에는 지자체 재난상황실, 인근 소방서와의 연계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다.
3개년 계획에 따라 마지막 단계에서 진행할 방침이라는 시 관계자의 설명이지만 궁색하다.
당장 올해 전통시장 23곳에 시스템이 도입되는데 지자체 재난상황실, 인근 소방서와의 연계는 2년 후에나 도입하겠다는 얘기다.
이상한 점은 또 있다.
이번 사업은 올해 안에 준공된다. 2차년, 3차년 사업은 다시 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게 된다.
하지만 제안요청서에는 1차년 선정 업체가 3년간 무상으로 지원센터를 운영하게 돼 있다.
인천스마트시티㈜는 4억 원 가까이 대행수수료를 받아가면서 당초 시의 계획과 어긋난 제안요청서를 작성했을 뿐 아니라 시스템 구축 이후 모니터링 등을 담당하는 운영지원센터도 선정 업체에 맡긴 셈이다.
시 소상공인정책과 관계자는 “전문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인천스마트시티㈜에 대행 위탁을 했다”며 “지적이 나온 부분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본 공모에 반영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20년 시 재난상황과는 ‘스마트 재난안전상황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직접 수행했다.
사업은 재난상황 통합·공유·전파, 재난·환경 연계정보 표출 등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구축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대부분 포함됐다.
[ 경기신문 / 인천 = 정민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