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기 들어 초.중.고등학교마다 '학부모회'가 조직되면서 학부모회의 불법 찬조금과 강제회비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부천지역의 경우 일부 초교에서는 운영위원이 된 학부모에게 100만원씩을 할당하거나 모 고교의 경우 3천만원이 넘는 불법찬조금이 거둬지면서 학부모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4일 부천학부모연대, 전교조부천중등지회 등 부천교육주체연대회의는 "새학기가 시작된 이후 일부 학교에서 불법찬조금 모금과 강제 회비 문제가 심각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도교육청과 부천교육청은 각 학교들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실시하고 불법찬조금이 조성된 것에 사과하라"고 주장했다.
부천학부모연대에 따르면 A초교의 경우 운영위원 학부모 6명이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교장이 임명한 운영위원 학부모가 다른 운영위원 학부모들에게 "학교발전을 위해 돈을 내는 것은 관례"라며 각각 20만원씩 회비를 낼 것을 요구했고 80만원이 거둬졌다.
또 이 자리에서 운영위원장은 다른 학부모들에게 "운영비를 100만원씩 내는 것이 좋겠다"며 "필요하면 나중에 돈을 더 거두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B고교의 경우 학부모회에서 학부모임원에게 "1,2학년은 학급당 100만원씩, 3학년은 학급당 150만원씩 내라"며 찬조금을 할당했다.
이에따라 각 반마다 임원학부모가 중심이 돼 수십만원씩 반 강제적으로 모금을 하게 됐고 3천만원이 넘는 불법찬조금이 거둬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부천학부모연대는 "B고교의 경우 1학년 회비 1천만원 가운데 200만원이 3월말 있었던 수련회 비용으로 사용됐다"며 "200만원 대부분이 수련회에 참가한 교장과 교사들, 학부모 간부들과 이사학부모들에 대한 접대비로 쓰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C고교에서도 학부모에게 왜 내야 하는지, 어디에 필요한지 아무런 설명도 없이 "20만원의 찬조금을 내라"고 강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불법찬조금 문제가 심각한 것에 대해 부천학부모연대 등 부천교육주체연대회의는 해당 학교들에 대한 도교육청과 부천교육청의 철저한 감사실시 및 불법찬조금 조성된 것에 대해 사과할 것을 촉구했다.
부천학부모연대 박상순 집행위원장은 "불법찬조금 조성이 적발되면 교육청이 원상회복만 하고 끝낼 것이 아니라 더이상 불법찬조금이 조성되지 않도록 각급 학교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며 "불법찬조금을 근절하기 위해 불법찬조금모금 고발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부천교육청 관계자는 "문제가 된 학교들에 대해 조사를 벌여 이번 주말까지 결과를 발표하겠다"며 "일선 학교들에 대한 지도.감독을 더욱 철저히 해 불법찬조금 문제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