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전국 지자체 대상 해킹시도 4년간 5000만 건 있었다…실제 15차례 뚫려

4년간 전체 해킹 시도 중 99% 서울·충남 집중 형국
해킹 공격 출저 국내보다 해외 비율 11배 높아

 

통신사와 카드사 등의 고객 개인정보가 잇달아 유출되는 상황 속에서 4년간 전국 지방자치단체 운영 시스템에 5000만 건에 육박하는 해킹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국회 행전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대덕)이 전국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해킹 현황 자료'를 보면 최근 4년간 약 4788만 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한해 약 1200만 건, 하루 평균으로 따지면 3만 2000여 건의 시스템 침입 시도가 있었던 셈이다.

 

지난 2022년 연간 약 800만 건이었던 지자체 해킹 시도는 지난해에는 1158만 건을 기록했다. 올해 7월을 기준으로는 해킹 시도가 지난해보다 많은 1887만 건에 육박하는 등 급증 추세다.

 

박 의원은 4년 동안 발생한 전체 해킹 시도 중 99%는 서울과 충남지역에 집중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올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1200만 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던 충남지역 지자체에 대한 해킹 시도 증가세가 유독 돋보였다.


해킹 시도 유형은 서비스 거부(491만 건)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정보 수집(344만 건), 시스템 권한 획득(146만 건), 정보 유출(65만 건), 홈페이지 변조(52만 건), 악성코드(51만 건) 등 순이었다. 


이러한 해킹 시도 속에서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정지 등과 같은 15건의 피해가 실제로 일어났다.

강원도에서 가장 많은 12건의 피해가 발생한데 이어 인천 2건과 대전 1건에서도 시스템 보안망이 침범당했다.

 

해킹 공격 출저를 살펴보면 국내 비율보다 해외 비율이 11배 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은 "전국 지자체 대상 해킹 시도 건수가 나날이 증가하면서 정보 유출이 우려되는 상황" 이라며 "정보 유출은 단 한 건이라도 사고로 이어질 경우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인 만큼 보다 체계적 대응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 경기신문 = 방승민 수습기자 ]









COVER STORY